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MongoDB
- 마이크로명령어
- 자바스크립트 배열
- 후위표기법연산
- pug
- 자바스크립트
- 보조저장장치
- mongoose
- 컴퓨터 구조
- 제어유닛
- react
- 자료구조
- CPU
- cookie
- 컴퓨터 구조론
- 표현식과 문
- JavaScript
- 제어유니트
- Nodemon
- 프론트엔드
- 유튜브 클론코딩
- 유튜브클론코딩
- 리액트
- Session
- Express
- 깃허브 로그인
- node.js
-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후위표기법변환
- 연결자료구조
- Today
- Total
목록Computer Science (11)
909 Devlog

👋 본 글은 "컴퓨터 구조론" 책을 읽고 요약, 정리한 글입니다. 책 구매 링크에서 책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6장에서는 가장 대표적인 보조저장장치인 하드 디스크의 구조와 동작 원리를 살펴보고, 용량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디스크 배열인 RAID의 설계 개념과 구조를 분석한다. 그리고 최근 보조저장장치로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플래시 메모리와 SSD의 내부 구조 및 동작 원리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특히 최근 반도체 분야의 핵심 기술로 부각되고 있는 3D V-NAND 플래시의 구조에 대해서도 분석하며, SSD의 성능 개선을 위한 제반 기술들도 살펴본다. 🎯 1. 하드 디스크 자화될 수 있는 물질로 코팅된 플라스틱이나 금속을 이용한 원형 평판으로 만들어진 저장장치 : 하드 디스크, 혹은 디스크라고 부름..

👋 본 글은 "컴퓨터 구조론" 책을 읽고 요약, 정리한 글입니다. 책 구매 링크에서 책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5장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기억장치들을 분석함으로써 계층적 기억장치 시스템의 개념을 이해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에 반도체 기억장치의 내부 조직을 살펴보고, 그들을 이용하여 기억장치 모듈을 설계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기억장치 대역폭 향상을 위한 기술인 DDR SDRAM과 기억장치 랭크의 원리와 구성 방법에 대해서도 분석한다. 그리고 주기억장치의 속도를 본완하기 위한 캐시 메모리의 구조와 설계 원리에 대하여 공부한 다음에, 차세대 반도체 기억장치 유형인 PRAM, FRAM 및 MRAM의 원리에 대해서도 간략히 살펴본다. 🎯 1. 기억장치의 분류와 특성 기억장치 액세스(memory acc..

👋 본 글은 "컴퓨터 구조론" 책을 읽고 요약, 정리한 글입니다. 책 구매 링크에서 책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4장에서는 제어 유니트의 기능과 내부 구조 및 동작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 1. 제어 유니트의 기능 제어 유니트가 수행하는 주요 기능들은 아래와 같다. 명령어 코드의 해독 명령어 실행에 필요한 제어 신호들의 발생 즉, 명령어 사이클이 적절히 수행되도록 모든 동작들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2장에서 봤던 사이클들 중에 인출 사이클은 다음과 같다. t (CPU 클록의 주기) 마이크로-연산 마이크로명령어 t0 MAR

👋 본 글은 "C로 배우는 쉬운 자료구조" 책을 읽고 요약, 정리한 글입니다. 책 구매 링크에서 책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1. 스택의 이해 📌 1 - 1. 스택의 개념과 구조 스택이란, 접시에 음식을 쌓아 올리듯 데이터를 차곡차곡 쌓아 올린 형태로 자료를 구성하는 구조이다. 스택은 같은 구조와 같은 크기의 데이터를 top으로 정한 한 곳으로만 접근하도록 제한되어 있다. 즉, 스택에서 top은 유일하게 액세스가 허용된 지점으로 삽입과 삭제가 일어나는 위치이며, 현재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데이터가 위치가 된다. 아래 그림을 보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가장 마지막에 삽입(Last in)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삭제(First out)된다는 구조적 특징을 갖고, 그 구조를 후입선출(LIFO..

👋 본 글은 "C로 배우는 쉬운 자료구조" 책을 읽고 요약, 정리한 글입니다. 책 구매 링크에서 책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1. 연결 자료구조와 연결 리스트의 이해 📌 1 - 1. 연결 자료구조의 개념 연결 자료구조란? : 연속한 물리 주소에 의해 원소 순서를 표현하는 것이 아닌, 각 원소에 저장되어 있는 다음 원소의 주소(링크)에 의해 순서가 연결되는 구현 방식 연결 자료구조의 원소는 연결될 다음 원소에 대한 주소를 저장하므로 단위로 구성됨 이를 노드라고 하며 원소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필드와 링크 필드로 구성된다. 데이터 필드는 원소의 형태에 따라 한 개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링크 필드는 포인터 변수를 사용하여 주소값을 저장하며, 포인터 또는 링크 또는 참조라고도 한다. 구분 순차 자료구조 ..

👋 본 글은 "컴퓨터 구조론" 책을 읽고 요약, 정리한 글입니다. 책 구매 링크에서 책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장에서는 컴퓨터 산술 및 논리 연산장치인 ALU의 내부 조직에 대해 공부하고, 그 장치가 수행하고 다루는 수의 표현 방법과 산술 및 논리 연산에 대하여 설명한다. 🎯 1. ALU의 구성 요소 ALU는 수치 및 논리 데이터에 대하여 실제적으로 연산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모듈이다. 다음 요소들은 그 ALU의 구성 요소들이다. 산술 연산장치 : 산술 연산들(+, -, x, %)을 수행 논리 연산장치 : 논리 연산들(AND, OR, NOT, XOR)을 수행 보수기(complementer) : 2진 데이터를 2의 보수로 변환(음수화)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 : 비트들을 좌측 혹은 ..